이재현 CJ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지사항

이재현 CJ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4-09 18:29

본문

이재현 CJ그룹 회장(오른쪽 첫번째)이 일본 도쿄를 방문해 현지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CJ그룹 제공 "일본에 다시 불붙은 한류 열풍은 단순한 유행이 아닌 K컬처 글로벌 확산의 결정적인 기회다. 비비고, 콘텐츠 등 이미 준비된 일본 사업들이 이 기회를 놓치면 안 된다." 9일 CJ그룹에 따르면 이재현 CJ 회장은 지난 2일부터 3일간 일본 도쿄에 위치한 일본지역본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현지화와 글로벌 인프라 구축을 가속화해 경쟁력을 높이고, 세계 시장으로 빠르게 수요를 넓혀 글로벌 리딩 컴퍼니로 도약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회장은 이번 현장 경영에서 일본 엔터테인먼트 및 유통·금융 업계 주요 인사들과 회동하며 그룹의 글로벌 사업 확대 가능성을 모색했다. 이 회장의 올해 첫 글로벌 현장 행보다. 이번 현장경영에는 김홍기 CJ 대표, 이석준 CJ 미래경영연구원장, 윤상현 CJ ENM 대표 등 그룹 핵심 인사들이 동행했다. 이 회장은 현장 및 화상으로 참석한 경영진들에게 올리브영의 일본 진출 등 신사업기회를 발굴하고, 로컬 파트너들과 협력을 통해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높일 것을 주문했다. 최근 일본에서는 기존의 '한류 열풍'을 뛰어넘는 K트렌드가 확산하고 있다. 과거 한류가 K콘텐츠와 K팝 중심이었다면, 최근의 K트렌드는 식품·뷰티·패션 등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생태계를 확장했다. 또, 이 회장은 사사키 다카시 TBS홀딩스 회장, 아베 류지로 사장 등 TBS그룹 주요 경영진을 만나 양사의 파트너십을 재확인하고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이어 오카후지 마사히로 이토추상사 회장, 이마이 세이지 미즈호 파이낸셜그룹 회장, 카토 마사히코 미즈호 은행장 등과 회동해 사업 협력 분야를 논의했다. 이 회장은 일본 경제와 통화·금융의 최고 전문가 중 하나로 꼽히는 호시 다케오 도쿄대 교수를 비롯해 한일 양국 문화콘텐츠 전문가들도 만나 경제환경과 트렌드 변화에 따른 그룹 사업 확대 기회를 모색했다. CJ그룹은 일본에서 식품·엔터테인먼트·뷰티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일본 현지에서 비비고 만두와 김밥 등 간편식 제품을 육성하고 있다. CJ ENM은 지난 2019년 일본 합작법인 라포네를 만들었다. CJ올리브영은 지난해 일본과 미국 등을 글로벌 진출 우선부동산 시장에서 최근 주택 공급(입주) 물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가 신규 택지 개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등을 통한 장기 주택 공급안을 내놨지만, 단기 대책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온다.9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26만3330가구다. 지난해 입주 물량(36만4058가구)보다 28%가량 감소한 수준이다. 상반기에 월평균 2만6000가구가량이 입주할 것으로 집계됐다. 하반기에는 월평균 1만8000가구 수준으로 줄어든다.지역별로 17개 시·도 중 14곳에서 준공되는 아파트 규모가 감소할 전망이다. 경기에서 7만405가구가 준공된다. 서울과 인천은 각각 3만2339가구, 2만2638가구다. 지방에서는 입주 예정 물량이 대폭 감소할 것으로 집계됐다. 경남 2만1203가구, 충북 1만3824가구, 대전 1만1699가구, 충남 1만3920가구 등이다.지난해 주택 공급 선행지표인 인허가 실적은 2023년(42만8744가구) 물량에 미치지 못했다. 작년 기준 누적 주택 인허가 물량은 42만8244가구였다. 2년 전인 2022년(52만1791가구)과 비교하면 대폭 감소했다. 민간 부문 실적이 줄어든 영향이다. 민간 인허가 실적은 2023년 35만853가구에서 지난해 29만9197가구로 14.7% 감소했다.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지정과 3기 신도시 조성 등 장기 주택 공급 계획은 세웠지만, 단기 공급 대책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주택 착공과 입주까지 5년 이상 걸리는 대책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해 주택 공급 대책의 일환으로 서울 서초구 서리풀지구를 포함해 수도권 그린벨트를 해제하고 5만 가구가량을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첫 입주 목표 시점을 2031년으로 잡았지만, 토지 보상 등 절차를 고려했을 때 길게는 10년까지 걸릴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개발업계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 사업장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주택 공급 가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발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 침체가 이어지는 만큼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세제 혜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한명현 기자 wise@hankyung.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회사명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3,026
어제
7,986
최대
8,491
전체
214,47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