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궐도
페이지 정보

본문
동궐도
동궐도 고려대(총장 김동원)는 개교 120주년을 맞아 학교의 역사와 정신을 조명하는 특별전을 1일부터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120년의 高(고)·動(동), 미래지성을 매혹하다’를 주제로 고려대 박물관 제1·2 기획전시실과 현대미술실, 인촌 갤러리에서 오는 12월 20일(토)까지 열린다. 전시는 고려대학교의 이름을 이루는 다섯 글자 ‘고(高)·려(麗)·대(大)·학(學)·교(校)’를 중심 주제로 구성됐다. 국보 및 보물을 포함한 국가지정문화재를 비롯해 다양한 유물과 학교사 자료 등 총 120건으로 구성된다. 분청사기인화국화문 태항아리(내외항) 교과 과정에서도 수록된 국보 혼천의와 혼천시계, 보물 삼국사기 외에도 국보 동궐도, 분청사기인화국화문 태항아리, 용감수경 등이 전시되며 현전 최고(最古) 추정 훈민정음 언해본,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발전소인 ‘전기등소(電氣燈所)’의 위치가 기록된 경복궁배치도 등 희귀 유물을 감상할 수 있다. 훈민정음언해본 전시의 대표 유물인 혼천의 및 혼천시계는 1669년 조선의 천문학자 송이영이 제작한 정교한 과학기기로, 전통 혼천의에 서양 기계식 시계 원리를 접목한 것이 특징이다. 세계 시계 제작 역사에서도 높은 독창성과 기술력을 보여주는 유물로 평가받는다. 조선 지식인의 과학적 사고와 정밀한 제작 기술이 집약돼 있다. 현재 이 유물은 우리나라 만 원권 지폐의 뒷면에도 그려져 있다. 혼청의 및 혼천시계 국보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는 유물인 동궐도는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경을 정밀하게 그린 16책 화첩으로, 왕실 건축과 조경의 미감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일반적으로는 복제본이 전시되지만 이번 특별전에서는 실물 원본이 2주 간격으로 교체 전시된다. 특히 펼쳐진 동궐도 앞에 서면 두 궁궐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미국이 주한미군 수천명을 괌 등 인도·태평양 지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온 지 하루 만에 미국 국방부가 이를 부정했다. 주한미군은 한국 방위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23일 주한미군은 “국방부가 주한미군을 감축할 것이라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미국은 한국 방위에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차기 정부 관계자들과 협력하여 굳건한 동맹을 유지하고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숀 파넬 국방부 대변인은 역시 “미국은 한국에 대한 방어 공약을 굳건히 유지하고 있다”며 “우리는 철통같은 우리의 동맹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해 차기 한국 정부 당국자들과 협력할 것을 고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넬 대변인은 “국방부가 주한미군을 감축할 것이라는 보도들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앞서 우리 국방부도 주한미군 감축설이 보도된 직후 “주한미군 철수 관련 한미간 논의된 사항은 전혀 없다”면서 “주한미군은 한미동맹의 핵심전력으로 우리 군과 함께 굳건한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여 북한의 침략과 도발을 억제함으로써 한반도 및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해 왔다. 앞으로도 그러한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미측과 지속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미연합연습 ‘자유의 방패’(FS·Freedom Shield) 연습이 시작된 10일 경기도 동두천시 주한미군 기지에서 스트라이커 장갑차가 대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WSJ는 22일(현지시간) 두 명의 미국 국방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에 주둔 중인 미군 병력 중 약 4500명을 괌 등 인도·태평양 지역 다른 기지로 재배치하는 방안을 대북정책 검토과정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이 방안은 아직 대통령의 책상에 올라가지는 않은 상태로, 여러 시나리오 중 하나에 불과하다고 매체는 전했다. 현재 한반도에 상주하는 주한미군은 2만 8500명 수준이다. 미8군을 비롯한 지상군 병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미7공군 등 공군과 해군,
동궐도
- 이전글특례보금자리론대환 탤레 peckpark 페크박컨설팅 새벽대출 원주시비대면작업대출 한부모가정대출 OYJ 25.05.23
- 다음글통장거래내역서제작업체【 카톡 : gost88 】 25.05.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