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지사항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5-20 08:46

본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왼쪽)가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5주기 5·18 민주화운동기념식'에 참석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은 여의도 당사에서 경제 분야 공약을 발표하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2025.5.18/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이재명 기자 (서울=뉴스1) 임윤지 기자 = 5·18 광주 민주화운동 45주기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권력구조 개편 개헌안을 꺼내 들었다.정치권에서는 대선 주자들이 개헌 공약을 발표하자 환영한다는 반응이지만, 워낙 민감한 문제이기도 하고 후보별로 입장차가 여전해 실현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다.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이재명 "대통령 권한 분산" vs 김문수 "국회 권한 약화"20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후보가 내놓은 개헌안은 대통령 4년 연임제와 대선 결선투표제를 도입해 대통령 중간평가를 의무화해야 한다는 것이 골자다. 연임제는 현직 대통령이 차기 대선에 한해 출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두 번째 출마에서 낙선하면 더이상 출마할 수 없다. 중임제는 대선 당선인이 언제 출마하는 지는 따지지 않고 최대 2번 대통령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낙선하면 다음에 또 출마할 수 있다. 이 후보는 대통령 권한을 제한하고 국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대통령 재의요구권 제한 △대통령 비상명령·계엄 선포권 국회 통제 강화 △국무총리 국회 추천 의무화 △감사원 국회 이관 △검찰 영장청구권 분산 등을 제안했다.민주당은 대통령이 직접 개헌안을 발의한 문재인 정부 때와 달리 이번엔 국회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개헌안은 이르면 2026년 지방선거, 늦으면 2028년 국회의원 선거에 국민투표에 부칠 예정이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반면, 김 후보는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 주기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당장 이번 대선 당선인부터 임기를 5년에서 3년으로 단축하고, 2028년 총선과 대선을 동시에 치를 것을 제안했다. 이후 대통령 4년 중임제를 적용해 책임정치를 실현하자는 구상이다. 김 후보 또한 헌법 128조 2항에 따라 자신은 임기 3년을 끝으로 물러날 것을 약속했다.특히 김 후보는 대통령 권한을 분산하자는 이 [박꽃의 영화뜰][미디어오늘 박꽃 이투데이 문화전문기자] ▲ 메가박스 영화관. ⓒ연합뉴스 '갈 이유가 있는' 영화관만을 찾아다닌 지 오래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굳어진 습관이다. 좌석이 넓어 팔걸이를 공유할 필요 없고 의자 각도도 자유롭게 조절되는 '리클라이너관', 압도적인 몰입감을 선사하는 초대형 스크린에 위아래 화면 삭제 없는 상영으로 감독 연출의도를 오롯이 느낄 수 있는 'IMAX관', 고급화된 소규모 좌석에서 흔치 않은 예술영화를 관람하는 호사를 누리게 하는 '부티크 스위트관'… 영화 보는 일이 돈과 시간을 쓰고도 교통체증과 주차전쟁 심지어는 옆사람의 '불쾌감 공격'까지 견뎌야 하는 매력 없는 일이 된 세상에서, 특별한 관람 경험을 보증하는 상영관만이 고려 대상이 된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가 합병한다는 소식이 지난 한 주 영화계를 달궜다. 두 사업자의 목적은 명백하다. 더는 유의미한 수익을 내기 어려운 '만성 적자' 영화관 사업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수익성을 최대한 끌어올린다는 판단이다. 이 계획이 실현되려면 소위 사업 효율화가 필수적이다. 대표적인 게 매달 지출해야 하는 부담스러운 고정비용을 줄이는 일일 것이다. 예컨대 비슷한 상권에 위치한 중복된 영화관 중 하나를 정리해 부동산을 처분하고, 자연스럽게 딸려 오는 인력 구조조정으로 인건비를 절감하는 식이다. 표면적으로 내세우진 않았지만 '공간'과 '운영 인력'이 주요 지출인 영화관 사업으로선 피할 수 없는 구조조정이다.생존을 위한 결단이라는 걸 알지만 두 사업자의 합병이 영화관이 봉착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느냐고 묻는다면 답은 회의적이다. 관객이 '그저 그런' 영화관을 찾지 않는 이유는 분명하다. 내 집에서 5~60인치 스마트TV로 편안하게 OTT 시리즈를 관람하는 것보다 하등 나을 게 없는 경험이기 때문이다. 업계 2, 3위인 두 사업자는 이번 합병으로 1600개 넘는 스크린을 확보해 1등 사업자인 CGV의 1300여 개 상영 규모를 넘어선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그곳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회사명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940
어제
8,894
최대
9,690
전체
466,81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