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자원회수(소
페이지 정보

본문
광주 자원회수(소
광주 자원회수(소각) 시설 입지 선정을 위한 주민설명회 [광주 광산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연합뉴스) 천정인 기자 = 광주 쓰레기 소각장(자원회수시설) 예정 부지로 선정된 광산구 삼거동 일원의 위장전입 의혹이 확산하고 있다.소각장 부지 선정을 위해선 인근 주민들의 동의가 필요한데, 주민 동의 절차가 시작되기 직전 수상한 전입 사례가 드러나면서다.15일 광산구에 따르면 삼거 소각장 예정 부지는 인근 주민 88세대 중 48세대(54%)가 사업에 동의하면서 최소 자격 요건(50%)을 갖추게 됐다. 그러나 주민 88세대 가운데 24세대는 주민 동의 절차가 시작되기 전 6개월 사이(2024년 3월∼8월)에 전입한 이른바 '신규 주민'으로 확인됐다.이 기간 새로 전입한 주민을 파악해보니 위장 전입으로 의심할만한 정황이 발견됐다는 게 삼도 소각장 유치 선정 반대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의 주장이다. 비대위가 자체 조사한 결과 이 기간 새로 전입한 주민은 광산구 집계와 달리 31명으로 파악했다. 이 중에는 광주시립요양병원을 운영하는 이사장 일가 사람들과 병원 직원들이 포함됐다고 주장했다.이들은 주로 병원 기숙사로 주소지를 옮겨놓았는데 실제 거주하지 않는다는 내부 관계자의 증언을 비대위 측은 확인했다고 밝혔다.이들 중 일부는 기숙사동이 아닌 병원 본관 동으로 주소지를 옮겨놓거나, 본인이 실제 거주하는 동·호수를 명확하게 대지 못한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 문제가 불거지자 시립요양병원 측은 해당 기숙사에 집기류를 새로 들였다는 주장도 나왔다.비대위 측은 또 인근 수녀원에 성인 남성이 새로 전입해 실거주하고 있다고 설명한 것도 의심되는 사례라고 설명했다.광산구의회 국강현 의원은 "새로 전입한 주민들 모두가 위장 전입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일부는 충분히 의심스러운 정황이 있다"며 "5명만 위장전입이 확인되어도 소각장 부지 선정 절차 자체가 하자가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이어 "광주시가 시립요양병원을 위탁 운영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소각장 부지 선정 주민동의를 위해 조직적으로 위장전입을 하도록 한 것 아니냐는 의심이 든다"며 "수사를 통해 철저히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이에 대해 광산구는 행정 절차상 전입 과정에 문제는 없다는 입장이다.광산구 관계자는 "주민 동의 절차 전후로 나타난 전입 세대 증가 추세가 크게 차이 나지 않고, 주민기후환경뉴스 '기후는 말한다'입니다.서울시설공단이 쓰레기 무단투기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서울 자동차전용도로를 대상으로 시민 제보 캠페인을 진행합니다.서울시설공단은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 등 서울 12개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최근 5년간 연평균 160톤에 달하는 무단투기 쓰레기가 발생했다며, 시민 제보 캠패인을 진행해 제보 1건당 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할 계획입니다. 카카오톡 제보 채널로 차량 번호판이 잘 보이는 사진이나 영상을 제보할 수 있으며, 공단은 쓰레기 상습 투기 지점에 CCTV를 설치하는 등 집중 관리에 나선다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광주 자원회수(소
- 이전글DAMIANI 다미아니 벨에포크 / 미모사 / 마르게리타 100주년 주얼리 전시 : 귀걸이 목걸이 반지 관람 사진 25.05.16
- 다음글'철부지 부부' 아내가 남편의 문제점을 공개했다. 15일 오후 방송된 25.05.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