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작 아시
아이작 아시모프 (출처: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1981,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1992년 4월 6일, 20세기 과학 소설의 거장 아이작 아시모프가 향년 72세로 생을 마감했다. 방대한 지식과 상상력 넘치는 이야기들로 미래 사회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을 던지며 과학 기술의 발전과 인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작가다.아시모프는 1920년 1월 2일 러시아 페트로비치에서 태어났다. 3살 때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 온 그는 어린 시절부터 과학 잡지와 소설에 매료됐다. 그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생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이후 보스턴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생화학 교수로 재직하기도 했다.그는 독창적인 과학 소설들을 발표해 명성을 얻었다. 그의 작품들은 과학 기술의 발전이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윤리적 문제, 철학적 사유 등을 깊이 있게 다뤘다. '아이, 로봇', '강철 도시', '벌거벗은 태양' 등 그의 대표작들은 오늘날까지도 과학 소설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아시모프는 인간과 로봇의 공존 가능성을 내다보며 '로봇 3원칙'을 제시했다. 제1원칙은 로봇은 인간에게 해를 입혀서는 안 되며, 행동하지 않음으로써 인간에게 해를 가하도록 방치해서도 안 된다는 것이다. 제2원칙은 제1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한, 로봇은 인간이 내리는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3원칙은 제1원칙과 제2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한, 로봇은 자신의 존재를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다. 로봇의 정의와 윤리의무를 규정한 이 원칙은 이후 수많은 과학 소설과 영화, 심지어 인공지능 연구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그는 과학 교양서 저술에도 힘썼다. 화학, 물리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며 대중의 과학적 이해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대표작은 '아시모프의 과학 이야기'다. 이 밖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500권이 넘는 책을 저술했다. 그의 명료하고, 논리적이며, 유머 감각까지 곁들여진 작품은 오늘날에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acenes@news1.k【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 부모들은 사교육을 대체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대한 요구는 크게 증가하는 등 사교육을 현실적인 필요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해졌다. ⓒ베이비뉴스 부모들의 사교육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공교육을 선호하는 비율은 감소한 반면, 사교육을 대체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대한 요구는 크게 증가하는 등 사교육을 현실적인 필요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해졌다.육아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과 발달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만2세 아동 부모의 경우 2016년에는 58.29%가 공교육의 특별활동 활성화를 선호했지만, 2024년에는 이 비율이 41.80%로 감소했다.반면, 인프라 구축을 통한 사교육 요구 흡수에 대한 선호는 24.02%에서 45.08%로 크게 증가했고 사교육 축소를 선호하는 비율은 2016년에 10.99%였지만, 2024년에는 5.80%로 줄어들었다.만5세 아동의 부모의 경우에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다. 2016년에는 56.96%가 공교육의 특별활동 활성화를 선호했으나, 2024년에는 그 비율이 35.80%로 줄어들었고, 대신 인프라 구축을 통한 사교육 요구 흡수에 대한 선호는 26.99%에서 53.20%로 크게 증가했다. 사교육 축소를 원하는 비율은 2016년에 8.95%였으나, 2024년에는 4.20%로 감소했다.종합적으로 공교육의 특별활동 활성화에 대한 선호는 2016년에서 2024년으로 갈수록 감소한 반면, 인프라 구축을 통한 사교육 요구 흡수에 대한 선호는 두 연령대 모두에서 크게 증가했다. 이는 사교육이 더욱 필요하다고 느끼는 방향으로 변화했을 가능성이 크며 사교육에 대한 수요가 불가피한 현실로 자리 잡으면서, 공공 인프라를 활용해 부담을 덜고 싶어하는 경향이 강해진 것으로 풀이된다.이와 관련해, 부모들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특성화 프로그램이나 특별활동만으로는 사교육을 대체할 수 없다는 인식이 늘었다. 2016년과 2024년을 비교했을 때, 특성화 프로
아이작 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