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권거래소. 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와 더불어 중국 정부의 보복 관세 발표로 뉴욕증시가 펜데믹 충격이 닥친 2020년 이후 최악을 기록했다. 4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31.07포인트(-5.50%) 급락한 38,314.8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22.44포인트(-5.97%) 떨어진 5074.0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962.82포인트(-5.82%) 하락한 15,587.79에 각각 마감했다. 중소형주 러셀 2000 지수는 4.37% 하락했고, S&P 500 지수는 팬데믹 확산 공포가 덮친 2020년 3월 16일(-12%) 이후 5년 만에 일간 기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는 기술적 약세장에 진입, 지난 3-4일 이틀간 낙폭만 11%를 넘어섰다. 다우지수는 지난 12월 4일 고점 대비 15% 빠지며 조정 구간에 들어섰다. 주간으로는 다우 지수가 7.9%, S&P 500 지수가 9.1% 떨어졌고, 나스닥 지수는 10% 하락했다.3대 지수 모두 주간 기준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다.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에 4일 중국이 오는 10일부터 모든 미국 제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해 정책 불확실성과 경기침체 위험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JP모건체이스의 브루스 카스만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전날 투자자 노트에서 "올해 세계 경제 침체 확률이 40%에서 60%로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2년간 이어졌던 미국 증시 강세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종언을 고했다고 보고 있다. 앤젤레스 인베스트먼트의 마이클 로젠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트럼프가 관세와 무역 정책을 쉽게 포기할 것이라 보이지 않는다"며 "주가 하락은 미국 경제와 세계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만을 미칠 나쁘고 일관성 없는 무역 정책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라고 말했다.뉴욕 증권거래소. 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와 더불어 중국 정부의 보복 관세 발표로 뉴욕증시가 펜데믹 충격이 닥친 2020년 이후 최악을 기록했다. 4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31.07포인트(-5.50%) 급락한 38,314.8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22.44포인트(-5.97%) 떨어진 5074.0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962.82포인트(-5.82%) 하락한 15,587.79에 각각 마감했다. 중소형주 러셀 2000 지수는 4.37% 하락했고, S&P 500 지수는 팬데믹 확산 공포가 덮친 2020년 3월 16일(-12%) 이후 5년 만에 일간 기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는 기술적 약세장에 진입, 지난 3-4일 이틀간 낙폭만 11%를 넘어섰다. 다우지수는 지난 12월 4일 고점 대비 15% 빠지며 조정 구간에 들어섰다. 주간으로는 다우 지수가 7.9%, S&P 500 지수가 9.1% 떨어졌고, 나스닥 지수는 10% 하락했다.3대 지수 모두 주간 기준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다.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에 4일 중국이 오는 10일부터 모든 미국 제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해 정책 불확실성과 경기침체 위험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JP모건체이스의 브루스 카스만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전날 투자자 노트에서 "올해 세계 경제 침체 확률이 40%에서 60%로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2년간 이어졌던 미국 증시 강세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종언을 고했다고 보고 있다. 앤젤레스 인베스트먼트의 마이클 로젠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트럼프가 관세와 무역 정책을 쉽게 포기할 것이라 보이지 않는다"며 "주가 하락은 미국 경제와 세계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만을 미칠 나쁘고 일관성 없는 무역 정책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