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왓고기국수’ 음식. 많은 표정을 가진 섬 제주. 멀리 있는 대양의 섬 못지않은 이국적 정취를 간직한 제주를 즐기는 관광객들부터 마음의 휴식이 필요해 한달살이에 나선 육지 사람들까지, 1시간 비행 거리로 얻을 수 있는 게 참 많은 곳이 제주다. 물론 식도락가들의 먹거리 탐방도 빼놓을 수 없다. 제주 자연을 담은 산물과 섬사람의 삶이 녹아든 식문화가 결합해 향토적이며 푸근한 맛을 내는 곳이다.식문화를 연구·발굴하는 직업상 각 지역의 음식 관광을 셀 수 없이 많이 진행했다. 그중 제주는 만족도가 높은 지역 중 하나다. 미술·건축 애호가들과 제주 현대건축과 미술품 전시를 둘러본 뒤 향토 음식점 ‘해삼토렴’을 방문한 적 있다. 해삼토렴은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 바닷가 사람들의 삶이 담긴 식당이다. 한편, 호기심 가득한 식품업계 종사자들과 함께한 제주 여정에선 ‘자리돔 젓갈’ 풍습을 체험하기도 했다. 제주 동쪽과 서쪽은 다른 방식으로 자리돔 젓갈을 먹는다. 취향이 다른 이들의 모임이었지만 공통점은 있었다. 관광객이 몰려 지나치게 상업화된 식당이 아닌 곳에서 제대로 된 맛을 경험해보고 싶어 했다. 이를 통해 끌어낸 결론이 있다. 경험과 입맛의 균형이 중요하다는 점. 지나치게 원형에 가까운 음식은 즐기는 수준이 아닌, 학습용 식당이 되어 불편함을 토로하게 한다. 옛 음식의 유래는 충분히 경험하되 맛이나 형태에선 현대인들의 눈높이에 맞춰야 한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최근 스포츠 마니아들의 제주 음식 관광을 진행했다. 한상차림의 푸짐함과 한 그릇에 담긴 맨도롱(따뜻하고 푸근하다는 의미의 제주 말)한 음식의 뿌리, 만든 이의 철학에 관광객들은 만족감을 표시했다. 그 맛집들을 소개해본다.바르왓고기국수‘바르’는 바다, ‘왓’은 밭이란 뜻이다. 제주 말이다. 제주의 바다와 밭 산물로 다양한 국수를 내는 집이다. ‘차롱’, ‘바르왓 솥밥’으로 이미 제주의 맛을 구현하는 데에 인정을 받은 임서형 셰프의 국수 작품들이 나온다. 고기국수, 비빔국수 등 어떤 것을 주문해도 깔끔하다. 가성비도 좋다. (제주시 한림읍 한림남길 24 2층/ 0507-1428-4588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 시간) 백악관 경내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라는 행사를 열고 국가별 상호 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46% 관세가 부과된 베트남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0%로 낮출 준비가 돼 있다며 협상을 제안했다. 2025.04.05. [서울·워싱턴=뉴시스] 이혜원 기자, 이윤희 특파원 = 미국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관세 46% 폭탄을 맞은 베트남이 대미 관세를 0%까지 내리겠다는 의사를 밝혔다.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 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방금 막 또 람 베트남 공산당 총서기와 매우 생산적인 통화를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트럼프 대통령은 "람 총서기가 미국과 협정을 맺을 수 있다면 (대미) 관세를 0%까지 내리길 바란다고 말했다"며 "우리나라를 대표해 감사를 표했고, 가까운 미래 회담을 기대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베트남뉴스통신에 따르면 람 총서기도 이번 통화를 높이 평가하며 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상품에 대한 관세를 0%로 낮추기 위해 협상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동시에 미국이 베트남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유사한 세율을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자국이 필요로 하는 미국산 상품을 더 많이 수입할 것이라며, 미국 기업이 동남아 국가에서 투자를 확대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유리한 조건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이같은 약속을 구체화하기 위한 양자 협정을 조만간 체결하기 위해 추가 논의를 하기로 약속했다.람 총서기는 트럼프 대통령 부부를 베트남으로 초청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초대를 수락해 조만간 다시 만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전 세계 국가들에 최소 10%의 기본 관세와, 최대 50%의 상호 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베트남의 경우 대미 관세가 90%에 달한다고 주장하며, 46%의 고율 관세를 적용키로 했다.베트남은 관세율을 낮추기 위해 무역 협정을 요구했고, 트럼프 대통령도 긍정적인 답변을 보낸 모습이다.베트남 외에도 대미 관세를 낮추겠다는 세계 각국의 의견 표명이 이어질 전망이다.CNN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미국산 제품 수입을 촉진하기 위해 19개 제품 품목 관세를 최대 35%에서 5%로 즉시 인하할 것"이라는 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