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플레이스상단
2025년 4월4일 헌법재판소 부근 서울 종로구 안국동 네거리에서 열린 윤석열 탄핵 요구 마지막 집회에서 젊은이들이 깃발과 손팻말을 들고 있다. 신다은 기자 “와!!!!!”2025년 4월4일 오전 11시22분,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라는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주문이 나왔다. 헌법재판소에서 가까운 안국동 네거리에 모여있던 수만 명의 시민들 사이에선 천만 개의 느낌표로도 표현할 수 없는, 숨죽이고 있던 거대한 감격의 함성이 터져나왔다. 시민들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함성을 지르고 하늘 높이 뛰어올랐다. 2024년 12월3일 윤석열이 불법적인 비상계엄령 선포로 내란을 일으킨 지 123일 만이었다. 길고 긴 넉달이었다.시민들 함성 지르고 하늘로 뛰어올라윤석열 파면이 선고된 직후 안국동 네거리에 설치된 무대에선 이번 윤석열 탄핵 시위의 인기 곡 중 하나인 데이6의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가 흘러나왔다. 제목처럼 역사의 한 페이지가 넘어가는 순간이었다. 젊은이들은 노래를 따라 부르며 춤을 췄다. 대학생 박채빈씨는 “심장이 정말 떨렸다. 이제야 첫 걸음을 내딛었다는 기분이 든다. 앞으로 할 일이 많을 것 같다”고 말했다. 박씨는 “계엄이 터지고 나서야 내가 평화로운 시대에 살았구나, 그 평화는 누군가가 투쟁해서 만들었구나 깨달았다. 그동안 정말 많이 힘들었지만, 앞으로 더 열심히 싸울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집회 사회자는 노래가 나오는 중간중간 “우리가 이겼다”, “주권자가 승리했다”, “민주주의가 이겼다”는 구호를 선창하고, 집회 참석자들에게 함성을 유도하기도 했다. 대학생 민예성씨는 “탄핵 이후에 차별이 사라지고 다양한 사람과 만나고 다양한 사람과 교류하고 서로 이해해 줄 수 있는 사회가 만들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복을 입고 ‘마지막 탄핵 집회’에 참석한 송은정씨는 “계엄 이후 내 일상도 무너졌다. 누굴 만나도 화밖에 안 났다. 여기 나와서 다른 사람들과 연대하고 외치면서 마음이 조금 가라앉았다. 너무나 당연한 결과를 이렇게 마음 졸이고 긴 시간 기다렸다는 게 억울하다. 하지만, 일단은 너무너무 기쁘다”고 감격해 [김병기 기자]▲ 세종보 천막농성 200일 문화제 때 찍은 기념사진ⓒ 이경호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의 파면을 선고하자 보철거를위한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시민행동)은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민주주의를 유린했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강과 하천을 정치정략의 도구로 전락시킨 윤석열의 파면은 마땅하다"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그럼에도 시민행동은 "340일을 넘긴 세종보 농성을 중단할 수 없다"면서 물정책이 정상화될 때까지 이어가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시민행동은 이날 성명을 통해 "내란으로 온 국민을 분노와 불안에 떨게 한 윤석열이 파면됐다"면서 "결국, 12.3 내란을 통해 국민에게 총부리를 겨누면서 국가의 헌법과 민주주의를 유린해 영원한 독재 권력을 가지려고 하였지만 국민이 이겼다"고 선언했다.시민행동은 "4개월이 넘는 시간동안 거리와 광장에서 내란 권력에 맞서 자리를 지킨 국민에 존경과 감사를 돌린다"면서 "이제 윤석열 정권에 부역한 부역자들과 적폐를 청산해야한다,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국민을 속이고 자본과 기득권의 욕망을 부추긴 정책의 퇴행을 멈추게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시민행동은 "윤석열 정부 들어 우리나라의 물정책은 수십 년 전으로 회귀했다"면서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민주적 논의 과정을 거친 금강 영산강의 보 처리방안은 취소되었고, 국가의 물관리기본계획도 졸속으로 변경되었다. 우리 강의 자연성 회복의 기조는 삭제되었고, 세계적으로 지양하고 있는 댐건설과 대규모의 하천준설 등의 하천 토목 사업이 물정책의 핵심 기조로 자리 잡았다. 지지세력의 집결과 권력의 안위를 위해 우리 강과 하천을 정치정략의 도구로 전락시켰다."시민행동은 "윤석열은 파면되었지만 세종보 재가동 중단과 물정책 정상화를 요구하는 우리의 농성은 340일을 넘어 계속된다"면서 "국회는 하루 빨리 물정책 정상화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물정책을 제자리로 회복해야한다"고 촉구했다.시민행동은 또 "세종보 재가동을 중단하고, 보 처리방안과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을 정상화하라"면서 "댐 건설과 대규모 하천 준설을 당장 중단하고 국가 물정책을 정상화하라"고 주장했다.임도훈 보철거를위한금강
네이버플레이스상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