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노출 하는법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체중 감량의 원리는 명확하다. 섭취한 열량(칼로리)보다 신체가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면 된다. 이를 흔히 칼로리 부족, 또는 칼로리 적자라고 부른다. 이론은 단순하다. 하지만 막상 실행에 옮기는 것은 그리 간단치 않다.요즘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유행하는 다이어트 방법은 간헐적 단식이다. 일정한 시간 동안 식사를 하고, 나머지 시간 동안 단식하는 방식이다. 먹는 시간과 금식 시간을 주기적으로 반복한다.가장 일반적인 간헐적 단식 유형은 ‘16대 8’과 ‘5대 2’ 방식이다. 전자는 하루가 기준이다. 24시간 중 16시간 금식, 8시간 동안 식사를 반복한다. 후자는 일주일 기준이다. 7일 중 5일은 평소대로 식사하고, 나머지 이틀은 500~600칼로리만 섭취하는 식으로 식사량을 제한한다.이중 16대8 방식은 ‘시간제한 식사’라고도 부른다. 최근 미국 내과학회 저널 내과학 회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에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시간제한 식사와 4대3 간헐적 단식(4일은 평소대로 식사, 3일(월·수·금처럼 연속하지 않도록 조정)은 평소의 20%만 섭취)을 비교한 결과 4대3 간헐적 단식이 더 큰 체중 감량 효과를 보인 것.(자세한 연구 결과는 ▶여기서 확인)과체중 또는 비만(체질량지수 27~46㎏/㎡)인 성인 165명을 대상으로 1년간 진행한 무작위 임상 시험에서 4대3 간헐적 단식 그룹은 체지방 감소율 7.6%를 기록했다. 반면 시간제한 식사 그룹은 5%에 그쳤다. 평균 5% 이상 체중이 감소한 비율 역시 4대3 간헐적 단식 그룹이 58%로 시간제한 식사 그룹의 47%보다 높았다. 이러한 차이가 난 배경은 뭘까.의료장비 업체 세카(Seca)의 임상교육 책임자인 니나 크로울리(Nina Crowley·의학박사·공인 영양사·영양 학자)는 4대3 간헐적 단식이 시간제한 식사보다 압박감이 적어 지속성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크로울리 박사는 4대3 간헐적 단식 그룹이 매일 섭취 열량을 제한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결정 피로’를 줄이고 순응도를 높일 수 있었다는 점이 한 가지 설명이 될 수 있다고 데일리 12개월 된 아기도 해마를 통해 기억을 형성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12개월 된 아기도 해마를 통해 기억을 형성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예일대와 컬럼비아대 공동연구팀은 영유아의 기억 작동 원리를 알아보기 위해 4~25개월 된 영유아 26명에게 일련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영유아가 사진을 보는 동안 영유아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특별 제작된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장비로 영유아의 뇌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살폈다. 그 결과, 영유아의 해마(기억과 학습을 담당하는 뇌의 핵심 부분)가 더 활발하게 반응했던 이미지를 다시 보여줬을 때 영유아가 그 사진을 더 오래 응시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영유아가 해당 이미지를 인식하고 기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같은 사진을 다시 볼 때 기억을 회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해마 뒤쪽 부분이 활발하게 움직였다는 점도 영유아의 기억 형성 능력을 뒷받침한다. 이러한 현상은 12개월 이상의 유아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연구의 대표 저자인 트리스탄 예이츠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아기의 뇌가 기억을 형성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다만, 아기의 기억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라고 말했다. 함께 연구를 이끈 니컬러스 터크 브라운 교수 역시 "이번 연구를 통해 말 못 하는 아기들도 기억을 형성하는 능력이 있다는 게 증명됐다"며 "성인이 돼서도 아기 때 기억이 남아 있을 수는 있지만,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은) 기억에 접근할 수 없어서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학계에서는 이번 연구가 인간은 태어나고 3년 동안의 일을 기억하지 못한다는 ‘영아기 기억상실 현상’의 원인과 관련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기억을 하지 못하는 원인이 기억을 형성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 아니라 형성된 기억을 지속하거나 떠올리지 못해서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깨어 있는 영유아의 뇌에서 기억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과정을 직접 관찰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간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대부분 영유아가 잠들어 있는 동안 이루어졌으며 물리적 한계로 영상 장비를 활용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이번
상위노출 하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