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로 넘어가는 韓 AI 유망주리벨리온 등 현지에 전진기지美빅테크도 잇단 인프라 투자국내 대표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으로 꼽히는 리벨리온이 최근 일본 도쿄에 첫 해외법인을 설립했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2일 “일본 AI 데이터센터 시장의 성장 속도가 빠르다”며 “놓쳐선 안 될 시장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기업에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 올거나이즈는 아예 일본으로 본사를 옮기고 최근 현지 증시 상장을 준비 중이다.스타트업 업계에서는 일본이 한국의 AI 유망주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인다는 지적이 나온다.구글,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 빅테크는 일본을 ‘아시아의 AI 허브’로 낙점했다. AI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에 2032년까지 최대 30%의 법인세를 감면해주고, 데이터센터 건설 시 최대 450억엔(약 4428억원)의 보조금을 주기로 하는 등 일본 정부의 진흥책 덕분이다.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 투자가 늘고, 기업의 AI 전환 속도가 빨라지면서 일본은 AI 스타트업에 기회의 땅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범호 고려대 인공지능연구소 교수는 “빠르게 대응하지 않으면 AI 관련 인재와 돈이 일본으로 빨려 들어갈 것”이라고 지적했다.SW 개발사에 파격 稅혜택…'팩스의 나라' 일본, AI 허브로 변신"한국보다 AI 성장 빠르다"…국내 기업들, 속속 일본행‘인공지능(AI) 사업을 하려면 일본으로 가자.’ 요즘 한국 스타트업 사이에서 공식처럼 회자되는 말이다.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팩스, 열쇠, 도장의 나라’로 불리는 일본이 디지털 전환(DX)이라는 중간 단계를 건너뛰고 AI 전환(AX)으로 바로 넘어가려 하면서 거대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상장, 기업 인수합병(M&A), 자본 조달이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쉬운 데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일본 진출 “손에 꼽을 수 없을 정도”한국 AI 스타트업이 일본으로 앞다퉈 몰려가는 현상은 지난해부터 조짐을 보였다. 기업용 AI로 유명한 올거나이즈는 미국에 있던 본사를 일본으로 옮기더니 최근 일본 증시 상장을 준비 중이다. 노무라증권, 미쓰이스미토모은행(SMBC) 등을 고객으로 확보하면서 전체 매출의 약 70%를 일본 법인에서 거두고 있다. 이창수 올거나이즈 대표는 “지금 일본은 AI를 받아들이는 데 굉장히 적극적”이라며 “고령화로 노동력 부족이 심각해지면서 AI 도입이 한국보다 훨씬 앞서 있다”고 말했다.국내 대표 경량화 대규모언어모델(sLLM) 기업 업스테이지도 지난달 도쿄에 일본 오피스를 열었다. 기업용 AI 솔루션 사업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생성형 AI 日로 넘어가는 韓 AI 유망주리벨리온 등 현지에 전진기지美빅테크도 잇단 인프라 투자국내 대표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으로 꼽히는 리벨리온이 최근 일본 도쿄에 첫 해외법인을 설립했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2일 “일본 AI 데이터센터 시장의 성장 속도가 빠르다”며 “놓쳐선 안 될 시장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기업에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 올거나이즈는 아예 일본으로 본사를 옮기고 최근 현지 증시 상장을 준비 중이다.스타트업 업계에서는 일본이 한국의 AI 유망주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인다는 지적이 나온다.구글,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 빅테크는 일본을 ‘아시아의 AI 허브’로 낙점했다. AI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에 2032년까지 최대 30%의 법인세를 감면해주고, 데이터센터 건설 시 최대 450억엔(약 4428억원)의 보조금을 주기로 하는 등 일본 정부의 진흥책 덕분이다.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 투자가 늘고, 기업의 AI 전환 속도가 빨라지면서 일본은 AI 스타트업에 기회의 땅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범호 고려대 인공지능연구소 교수는 “빠르게 대응하지 않으면 AI 관련 인재와 돈이 일본으로 빨려 들어갈 것”이라고 지적했다.SW 개발사에 파격 稅혜택…'팩스의 나라' 일본, AI 허브로 변신"한국보다 AI 성장 빠르다"…국내 기업들, 속속 일본행‘인공지능(AI) 사업을 하려면 일본으로 가자.’ 요즘 한국 스타트업 사이에서 공식처럼 회자되는 말이다.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팩스, 열쇠, 도장의 나라’로 불리는 일본이 디지털 전환(DX)이라는 중간 단계를 건너뛰고 AI 전환(AX)으로 바로 넘어가려 하면서 거대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상장, 기업 인수합병(M&A), 자본 조달이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쉬운 데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일본 진출 “손에 꼽을 수 없을 정도”한국 AI 스타트업이 일본으로 앞다퉈 몰려가는 현상은 지난해부터 조짐을 보였다. 기업용 AI로 유명한 올거나이즈는 미국에 있던 본사를 일본으로 옮기더니 최근 일본 증시 상장을 준비 중이다. 노무라증권, 미쓰이스미토모은행(SMBC) 등을 고객으로 확보하면서 전체 매출의 약 70%를 일본 법인에서 거두고 있다. 이창수 올거나이즈 대표는 “지금 일본은 AI를 받아들이는 데 굉장히 적극적”이라며 “고령화로 노동력 부족이 심각해지면서 AI 도입이 한국보다 훨씬 앞서 있다”고 말했다.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