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지구의 온도가 해마다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지사항

[앵커]지구의 온도가 해마다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4-22 03:34

본문

[앵커]지구의 온도가 해마다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전 세계 농업에도 타격을 주고 있는데요.이같은 기후 위기에 직접 해법을 찾아 나선 농부들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김진희 기자가 전합니다.[리포트]중앙아시아를 아우르는 거대한 산줄기, 천산산맥.아름다운 빙하는 중앙아시아 농업의 중요한 수자원이기도 합니다.하지만 최근 기습적인 폭염으로 빙하가 빠르게 증발하며 인근 농부들의 시름이 커지고 있습니다.지난달, 중앙아시아 5개 나라의 기온이 산업화 이전 평균보다 10도나 오른 건데요.파키스탄 고산지대 사정도 마찬가집니다.기후변화로 눈이 적게 내리면서 물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았습니다.농부들은 직접 해결 방안을 찾았습니다.[굴람 하이더 하시미/지역 주민 :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학 부지에 작은 탑 모양의 얼음 구조물을 만든 것을 온라인 영상을 통해 봤습니다. 거기서 영감을 받아, 우리도 비슷한 시도를 해보기로 결심했습니다."]바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인공 얼음탑 '스투파'를 만든 건데요.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파이프를 통해 들어온 개울물이 공중으로 뿜어져 나가면서 차가운 공기 속에 얼어 얼음탑이 형성됩니다.봄이 되면 이 얼음탑이 천천히 녹으면서 물을 공급하는 원리입니다.[바시르 아흐마드/농부 : "예전에는 물 부족 때문에 한 번 밖에 농사를 지을 수 없었지만, 이제는 두 번, 세 번까지도 재배할 수 있게 됐습니다."]현재는 20개 이상의 마을이 매년 겨울마다 스투파를 만들고 있는데요.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농부들의 노력이 새로운 희망을 일궈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기후는 말한다' 였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진희 기자 (hydrogen@kbs.co.kr) [당근 캡쳐]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모자, 블라우스, 반바지, 가방, 운동화까지 모두 합쳐서 1만2000원!”최근 화제가 된 한 당근 게시물 내용이다. ‘만이천원의행복’, ‘당근코디’ 등의 해시태그가 달렸다. 댓글도 칭찬 일색이다. “싸고 멋지고 행복할 수 있다”, “당근의 행복” 등이다.중고거래의 주된 이유는 합리적 소비다. 그리고 의도하든 그렇지 않든 중고거래는 경제적 이득을 넘어 사회적·환경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크다.연간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약 10%가 바로 의류산업에서 나온다. 의류를 중고 거래하는 것만으로도 막대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중고 거래는 알고 보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지구와 환경을 위한 ‘착한 일’이다.오는 22일은 ‘지구의 날(Earth Day)’이다. 해상원유 유출 사고를 계기로 민간에서 주도된 전 세계 공통의 친환경 기념일이다. 중고 거래를 포함, 작지만 의미 있는 친환경 실천법에 다시금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다. [당근 캡쳐] 국내 대표적인 중고 거래 플랫폼 당근엔 이 외에도 다양한 중고 거래 사례가 있다. 대구시의 한 당근 사용자는 “적당한 포장지가 없어 아쉬웠는데 때마침 나눔으로 종이 쇼핑백을 다수 얻을 수 있었다”며 사진과 함께 고마움을 전했다. 댓글에서도 “나눔을 하는 기분이 정말 좋다”, “보기만 해도 마음이 따뜻해진다”는 등의 반응이 이어졌다.영국 환경청에 따르면, 일회용 종이가방은 4회 재사용하게 되면 비닐봉지보다 탄소배출량이 줄어들게 된다. 종이가방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절감할 수 있는 대안이지만, 탄소배출까지 줄이려면 다수 재사용하는 게 필수란 의미다. 이 당근 사용자와 기증자는 종이가방 재사용을 통해 친환경 실천에 동참하는 셈이다.의류 중고 거래는 친환경을 실천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분야다. 그만큼 의류산업으로 발생하는 환경오염은 심각한 수준이다. 중고 의류 매장.[게티이미지뱅크] 패스트패션 산업이 주류로 자리 잡으면서 대량생산 대량소비가 의류 산업의 대세가 된 탓이다. 다시입다연구소 등에 따르면, 전 세계 의류 판매량은 2000년 500억벌 수준에서 2015년엔 1000억벌 수준으로 급증했다. 현재 업계에선 매년 1500억벌 가량 생산되는 것으로 추산한다.이처럼 대량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회사명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573
어제
7,079
최대
8,794
전체
245,24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