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공지사항

지난 21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ajfoooo 작성일 25-05-25 18:42 조회 5 댓글 0

본문

지난 21일 경남 창녕군 유어면 세진리 마늘밭에서 열린 마늘생산량조사 시연회에서 이형일 통계청장이 마늘을 캐고 있다. 통계청 [창녕(경남)=최용준 기자] “오늘은 숫자를 잘 세는 게 제일 중요해요.” 지난 21일 경남 창녕군 유어면 세진리 마늘밭(3078㎡)에서 정글모를 쓴 통계청 조사관들이 고랑을 걷자 참개구리가 펄쩍 뛰었다. 전날 내린 비로 두둑에는 장화 발자국이 났다. 올해 마늘 생산량 조사를 위해 조사관들은 각자 100m 줄자, 계산기, 폴대, 쇠 포크를 하나씩 챙겼다. 초록빛 마늘 줄기가 이리저리 휘청댔다. 마늘밭 주인 조덕종 이장(56)은 “마늘은 지금 수확해 20일 정도 건조한다. 7월부터 공판장에 출하하고 경매를 실시한다. 이제 곧 시중에 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통계청의 ‘2025년 마늘 생산량조사 시연회’가 열렸다. 조사 과정을 외부에 투명하게 공개해 통계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마늘 생산량조사는 식량수급 계획, 농산물 가격안정, 농업소득 추계 등 농업정책 수행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한다. 마늘은 파종시기가 매해 10월로 이달 수확을 앞두고 있다. 전국 마늘 밭을 모두 조사할 순 없으니 표본조사를 통해 전체 생산량을 계산한다. 송경희 통계청 창원 사무소장은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기준 이랑을 선정하고 두 개 표본 구역을 선정을 한다”며 “표본 구역의 면적은 3㎡이다. 선정된 표본 구역 내에서 마늘 20개를 채취하고 그 다음 무게를 달아서 수량으로 환산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말했다. 이어 “해당 통계는 정책 자료로 활용된다. 식량가격 안정을 위해 통계가 쓰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통계청이 시연회를 진행한 밭도 올해 마늘 표본 구역으로 선정된 539개 필지 중 하나였다. 통계청에서 내려온 난수표(숫자를 무질서하게 배열한 표)를 활용해 너른 마늘밭 중 두 곳을 A, B 표본 구역으로 정했다. 최대한 표본을 무작위로 선정하기 위해서다. 조사관들이 표본 구역을 표시하기 위해 100m 줄자를 들고 걸었다. 돌돌 말린 줄자가 검은 진흙 위로 흰 길을 냈다. 하늘색 폴대 4개로 표본 구역을 우편집자 주 '기후로운 경제생활'은 CBS가 국내 최초로 '기후'와 '경제'를 접목한 경제 유튜브 프로그램입니다. 한국의 대표 기후경제학자 서울대 환경대학원 홍종호 교수와 함께합니다. CBS 경제 전문 유튜브 채널 '경제연구실'에 매주 월/화/수 오후 9시 업로드됩니다. 아래 녹취는 일부 내용으로, 전체 내용은 '경제연구실' 채널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방송 : 유튜브 CBS 경제연구실 '기후로운 경제생활' ■ 진행 :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대담 : 김선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연구위원 ◆ 홍종호> 지금까지 말씀을 들으면서 생각하게 되는 것은요. 과거의 거대한 발전기, 그러니까 원전이나 석탄 중심의 발전 시스템에서 이제 많은 나라들이 기후위기 시대에 재생에너지 중심의 발전 시스템으로 전환하고 있잖아요. 이 과정에서 기존의 전력망 관리나 운영과는 다른 방식의 도전, 하드웨어적이나 소프트웨어적으로 고민할 거리가 많이 생기는 도전이 우리에게 주어져 있는 것 같아요. 그것이 지금 스페인 대정전을 통해서 우리가 살펴보고 배워야 할 교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김선교> 정확하게 지적해 주셨어요.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은 원래 불완전하고요. 과거에도 정전이 있었고 지금도 정전이 있어요. 어떻게 보면 정전이라는 건 항상 가끔 일어날 수 있는 사고인데 그 원인이 바뀌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과거에 정전이 생겼던 원인과 지금 정전이 생기는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새로운 방식으로 우리가 그 운영을 어떻게 할 것인가, 준비를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부분이 교훈일 것 같고요. 그리고 전력 시스템이 변화하는 과정의 흐름은 자연스럽고, 변화가 더 가속화되고 보편화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운영 방법에 대해서 논의해 보자는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어요.◆ 홍종호> 그래요. 그 말씀을 하시니까 이런 질문도 드려보고 싶은데요. 스페인이 평균적으로 56% 정도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보였고요. 독일은 60%를 넘어섰다는 통계가 있고 덴마크는 세계에서도 가장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나라 아닙니까? 거의 90%를 달성한 나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회사명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